본문 바로가기

충북뉴스브리핑

구제역 뒤늦은 정부 대책 질타하는 신문들


구제역 뒤늦은 정부정책

구제역이 확산되자 정부가 가축질병 위기경보를 심각단계로 격상시켰다. 충북일보는 오늘 사설 < 뒤늦은 구제역 정부 대책을 질타한다>에서 정부의 방역대처 능력이 한계에 이른 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전했다. 충북일보는 전파 경로를 명확하게 규명하고 감염원인 축산농장주와 종업원, 수의사, 사료회사 직원 등에 대한 코드화를 만들어 철저한 관리와 함께 입출시 철저한 소독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며, 구제역 진단 시설을 더 확충하고 첨단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부매일도 사설 <당국, 구제역 차단에 사활 걸어야>에서 당국의 조치가 늦었다며 경북에서 경기 등으로 구제역이 번졌을 때 경보단계를 심각으로 바꿔 총력 대비 태세를 갖추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중부매일은 지자체에만 맡기는 식의 방역에는 한계가 있다며 구제역 차단에 사활을 걸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제역 피해 농가 보상은 어떻게

중부매일은 1면 <생계안정비 최고 1천400만원 지원 가축살처분 농가 입식제한은 6개월>에서 구제역으로 인한 농가 피해보상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며 정부가 평가추정액의 50%를 선지급하고, 6개월 동안 생계 안정비를 최고 1천400만원까지 지급한다고 전했다.

         <중부매일 12월30일자 1면>

백곡․ 궁저수지 둑높이기 계획대로

주민들간의 찬반갈등을 겪었던 진천 백곡저수지와 보은 궁저수지 둑 높이기 사업을 충북도가 계획대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충북도는 환경단체들의 반대 등을 고려해 당초 계획보다 둑높이를 낮춰서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고 충청타임즈가 4면 <백곡․ 궁저수지 둑높이기 계획대로 >에서 전했다.

전 경찰서장이 오락실 브로커와 유착의혹

충청타임즈 3면 < 오락실 단속업무 브로커가 총지휘?>에서 홍동표 전 청주흥덕경찰서장이 재직시절 불법오락실 브로커가 원하는 경찰을 단속 경찰로 배치했던 것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기사를 보면, 검찰에서는 전 흥덕서 사행성게임 단속부서 경찰관이었던 유씨가 브로커 김씨로부터 단속정보제공 등 명목으로 3700만원을 받은 뒤 단속사실을 알려준 혐의를 받고 있다고 전했다.

다음은 12월30일 충북지역 일간지들의 1면 머리기사 제목이다.

중부매일 < 충주구제역10km내 예방 백신 접종한다>

충청타임즈 < 구제역 확산 오늘이 고비>

충북일보 < 구제역 發 관련업계 ‘도미노 직격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