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이명박 정부 들어서 지역균형발전정책으로 진행되던 사업들에 제동이 걸리기 시작했다. 수도권 규제완화 정책과 세종시 기능 축소 등이 대표적이다. 자치단체와 시민사회 등이 나서서 정부정책에 반대 여론을 펼치고 있지만, 상황은 쉽질 않다. 지역주민들은 각종 궐기대회에 나서고 있으며, 이명박 정부와 한나라당은 충청권 민심을 달래는 척하면서 전혀 뜻을 굽히지 않고 있다.
도대체 왜 이런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것일까. 그 해답은 언론에서도 찾을 수 있다. 우리나라 신문시장의 전체 70% 이상을 차지한다는 조선, 중앙, 동아일보가 지역을 다루는 방식에서 답을 찾아보자.
◆ 지역의제 3% 불과, 하루 1개 정도 기사밖에 볼 수 없는 전국지
지난 2001년과 2002년 사이 조선, 동아, 중앙, 한겨레신문의 사설 6,523개 가운데 비수도권을 공간적 소재로 다룬 경우는 전체의 3%에 불과했으며, 전국일간지들이 지방 면을 권역별로 나눠 1개 면을 배정해 채우는 기사들도 대부분 미담, 화제 등의 연성기사들에 불과했다는 연구결과가 이미 발표된 바 있다.
전국일간지들의 충북지역 관련 기사는 많아야 하루에 1개 정도에 불과하다. 우리 지역에 중요한 뉴스가 단 한 개가 아닌데도 전국일간지들이 지역을 다루는 방식은 이렇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이들 신문의 보도행태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인다. 전국적인 관심사가 더 중요하기 때문일까. 지역뉴스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 일까.
그렇다면 요즘의 전국일간지들은 지역 의제를 많이 다루고 있을까. 최근 전북민언련에서는 지난 2008년에 발행된 조선,중앙,동아일보의 사설을 분석해 지역의제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조사 발표했다. 조사 결과 역시 예상을 빗나가지 않았다.
◆ 2008년 조선,중아, 동아 지역 주제 사설 전체 4.27%에 불과
이들 세 신문이 지역을 주제로 다룬 사설은 조선일보 4.99%, 중앙일보 3.5%, 동아일보 4.3%로 전체 4.27%에 불과했다. 지난 2002년의 3% 보다는 수적인 면에서 많아졌다고 볼 수도 있겠다. 지역과 관련된 사설을 재난 사건 사고, 지자체 공무원 부정 비리 등의 단순 소재와 수도권 규제완화, 혁신도시 등의 지역의제로 구분했을 때는 단순 소재는 총 115건으로 2.6%, 지역 의제는 70건으로 1.67%였다. (표참조)
|
|
|
|
▲ <표> 조선, 중앙, 동아일보의 지역 소재 관련 사설 개수 분석 |
|
|
◆ 조중동 지역의제 사설 이명박 정부 입장과 같아
그러나 사설이 다루고 있는 내용이 얼마나 지역의 관심과 여론에 충실하고 있는지는 따져봐야 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역의제는 대체로 혁신도시, 수도권 규제완화 및 지역균형발전, 4대강 정비사업, 부동산 규제완화, 행정구역 개편 등 5개 유목별로 주제가 나뉘었으며 의제에 대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 조선, 중앙, 동아 3사가 모두 일치된 입장을 보였으며, 이명박 정부의 정책 흐름과도 동일했다고 한다. 혁신도시문제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 의제에 대해서는 모두 찬성 입장을 보였다.
◆ 재난, 사건 사고 소재로 지역 소재 사설에 등장
지역의 특정 이슈가 단독 주제로 전국지의 사설에 등장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2008년도에 발행된 조선, 중앙, 동아일보의 사설 가운데 재난 사건 사로를 다룬 사설은 전체 24개로 0.89%를 차지하고 있다. 태안의 기름유출 사건, 조류독감 파동 같은 소재들과 관련된 사설이 전부이다. 이들은 지역의 현안에 대해 근본적 배경이나 구조적 문제점 등을 다루기보다는 사건 사고의 틀로 다루면서 지역 주민들로 하여금 집단적인 열등의식을 갖게끔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방자치에 관련된 사설의 내용들도 지방자치 단체와 주체들에 대한 비판 일색이다. 부정과 비리의 유혹에 약한 이들로 묘사하며, 부정부패 척결을 촉구하며 훈계하는 식의 사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지역은 안중에도 없는 전국지
전체 신문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하며 독과점적 지위를 누리는 이들 3대 일간지 사설 분석을 통해 지역과 관련된 의제들이 얼마나 소홀이 취급되고 있는지 밝혀졌다.
소홀이 취급하는 것도 모자라 흥미위주의 사건 사고, 서울이 중앙이고 지방은 변방에 불과하다는 식의 틀로 바라보는 것도 알 수 있다. 뿐만이 아니다. 지역균형발전 정책들도 정부의 입장만을 반영할 분이며, 지역은 스스로 알아서 경쟁하라고 부추길 뿐이다. 지역 주민들의 여론에는 전혀 아랑곳하지 않고 있다. 이것이 ‘조중동’이 지역을 다루는 방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