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언론이야기

<충청타임즈> 충북인에 대한 오해 풀이 기사 눈길

충북이 과연 투서가 많은 지역인가

최근 한 정치인이 내로라하는 지역인사들이 참석한 자리에서 "앞에서는 말을 하지않고, 뒷공론이 많다"는 식의 자학적(自虐的) 발언을 내놓았던 것으로 알려져 "충북은 투서가 많다"는 근거없는 낭설과 함께 '과연 그런가'라는 의구심을 낳고 있다.
동시에 스스로 지역을 깎아 내린 해당 정치인의 발언과 같은 맥락에 근거없이 동의했던 기류를 청산할 필요성도 제기됐다.
특정지역 기질과 정체성을 반영하는 척도로 '투서'의 많고 적음이 곧잘 회자되곤 하지만 충북은 통계자료로 보나 수사기관 관계자들의 경험담을 종합하면 오히려 정반대에 가깝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고소·고발·진정 통계 전국 2% 못미쳐

청주지검이 2008년~2009년 처리한 고소, 고발, 진정사건 처리 현황을 분석한 결과 충북은 전국 사건의 1.3%~1.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 청주지검이 처리한 고소사건은 6207건, 고발 2039건, 진정 495건으로 집계됐다. 이를 전국 지방검찰청이 처리한 사건 규모와 분석한 결과 고소는 1.3%, 고발은 1.5%, 진정은 1.5%라는 비율을 각각 차지했다.
2008년 역시 고소 6141건, 고발 1863건, 진정 369건으로 전국 대비 비율은 1.3%, 1.4%, 1.3%로 각각 분석됐다. 충북 인구가 전국 대비 3%라는 점을 감안하면 극히 적은 수치이다.

통상 지도층과 유력 경제인, 공직사회 등에서 힘있는 세력이 상대를 쓰러뜨리려는 의도나 이해 관계자들이 특정인을 음해하려는 뜻이 반영된 것이 투서이다.

또 '암투·모함·권모술수'라는 개념과 동일시되는 것이 '투서'여서 통계 자체만으로는 실상을 가늠하기 쉽지않다.

그러나 지역의 검찰 관계자들의 경험담을 들어보면 지역 사정은 상당한 거리가 있어 보인다.
검찰의 한 관계자는 "특정 공무원이 돈을 받았다거나 여자관계가 있다며 처벌해 달라는 식의 투서가 종종 접수되기도 하지만, 구체성이 없어 거의 폐기된다"며 "별도 통계를 내지않아 정확한 판단을 하긴 어렵지만, 타지역과 인구수 등을 감안하면 충북이 많다고 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투서가 많다는 얘길 끄집어 내는 속내는 자신은 그렇지 않은데 지역민은 이렇다는 식의 잘못된 인식과 맞닿아 있다. 별 생각없는 발언이 반복돼 정설로 여겨지고, 지역 브랜드 저하라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어 청산할 부정적 문화로 꼽힌다.

앞에 나서지 않거나 말하길 꺼린다는 인식과 기질도 새롭게 재해석할 필요가 있다.

안정지향성서 연유… 긍정적 작용도 가능

윤건영 교수(청주교대)는 충북학연구소가 발간한 2009 논집 '충북 문화 정체성의 변천양상과 쟁점'에서 "양반스럽다. 소극적인 온건함 등은 역사속에서 상대방의 눈치를 봐가며 속내를 감췄던 것이 양반기질로 형성됐고, 안정지향적 모습으로도 해석됐다"며 "현대적 관점에서 긍정적으로 재해석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돼야 하고,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충북의 기질과 특성이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재은 교수(충북대 행정학과)는 "뒷말과 투서가 많고 남이 잘되는 걸 못봐 준다거나 행동이 느리다는 식의 부정적 시각은 왜곡되거나 비약된 측면이 강하다"며 "외부활동 과정에서 종종 듣긴하지만, 표현이 완곡할 뿐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는 게 아니다라고 설명하곤 한다"고 말했다.

"지방이 살려면 구성원 자긍심 북돋워야"

조수종 충북경실련 공동대표는 "지방화 시대에 지방이 생존하려면 구성원들의 자존심과 자긍심을 북돋워 줘야 한다. 사회안전망 확보를 통해 지역사회에 애정을 갖도록 해야 한다"며 "신뢰라는 사회적 자본을 확충하는 데 노력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낙후'를 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